東아시아海 文明의 歷史와 環境(學習院大學 復旦大學 慶北大學校)

JapaneseKoreanChinese
코디네이터
鶴間和幸(쯔루마 카즈유키)
아시아硏究敎育據點事業 「東아시아海 文明의 歷史와 環境」
写真 아시아연구교육거점사업(Asian Core Program)은 아시아에 있어서 세계적 수준의 연구교육의 구축을 목표로 한 것이다. 아시아의 여러 나라와 공동으로 연구교육의 거점을 만드는 것으로서, 학습원대학(學習院大學)은 그 파트너로서 협정대학인 중국의 복단대학(復旦大學)과 한국의 경북대학교(慶北大學校)를 선택하였다.「동아시아해 문명의 역사와 환경」이라고 하는 테마가 종래의 동아시아 연구와 크게 차이나는 점은「동아시아해 문명」이라고 하는 문명사적 관점과 자연환경이라고 하는 시각을 도입한 것에 있다.
 일본 • 중국 대륙 • 한반도 • 대만에 둘러싸인 해역은 각기 그 나라의 입장에서 일본해(日本海), 동지나해[東支那海], 동해(東海), 서해(西海), 황해(黃海), 발해(渤海)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려지고 있다. 영해(領海)를 둘러싼 국가간의 이익이 대립하는 현재, 이들 바다를「동아시아해」라는 명칭으로 통일하여 그 역사와 문명을 공동으로 연구해 나가는 일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황하(黃河)와 장강(長江)에서 발생한 문명은 양 대하(大河)의 하류 지역을 거쳐, 그리고 연해로부터 바다를 건너 한반도와 일본에 전해져 왔다. 더욱이 그 문명은 상호 교류를 통해「동아시아해 문명」이라고도 할 만한 고도의 문명을 구축해 왔다.
 유럽 세계의 지중해에 해당하는 해역 「동아시아해」에서 형성된 「동아시아해 문명」의 특질을, 나아가서는 그와 자연환경과의 관계를 고찰해 나간다. 황하나 장강의 대하(大河)는 동쪽 바다 대륙붕의 해저에 상류로부터 흘러온 이토(泥土)를 퇴적시켜, 그 끄트머리에 일본 열도가 있다. 황하의 하도(河道)의 변동이 동쪽 바다의 환경을 변화시켜 온 것이다. 이러한 점은 지금까지의 동아시아 연구에서는 간과되어 온 것이다.
 현재 동아시아는 정치적으로 여러 가지 문제를 안고 있지만, 그와는 반대로 경제적으로는 동아시아 공동체로서 일체화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국의 연구자가 서로 왕래하여 과거 동아시아 사회의 모습에서 미래 공존의 바람직한 모습을 「공통의 장(場)」에서 생각해 본다는 의미에서, 국제적으로 중요하고도 불가결한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다.


이 페이지의 맨위로